김서경 김운성 작가
페이지 정보
본문
일본 제국주의 침략으로 인해 상처받은 조선의 어린 소녀들의 서럽고 슬픈 내용을,
수 십년 어둠의 가금속 깊은 곳에서 썩어 뭉그러진 응어리를 끄집어 내어
일본의 만행을 꾸짖는 할머님들의 용기를 존중하며, 사랑하며
이 조각상을 바칩니다.
김운성 약력
< 개인전과 2인전 >
-1회개인전(`96 21세기화랑),
-2회개인전(2011 박진화미술관)
김운성김서경조각전(1회~11회`93~2012)
2016 소녀상전시(고도겔러리)
그 외 다수의 단체전 출품
김서경 약력
1996 1회 개인전 (21세기 화랑)
2004 2회 개인전 (공화랑)
2009 3회 개인전 ( 겔러리 M )
2010 4회 개인전 (아트가)
2011 5회 개인전 (인사동)
1993-2007 김서경, 김운성 조각전
(그림마당 민, 원서 갤러리, 여주 운암분교, 한전프라자, 가람화랑, 예치과 갤러리, 디자인 웍스)
그 외에 다수의 단체전 출품
김서경 김운성 공동조형물 제작 설치
- 광주5.18추모조형물 : 광주대학 (1990)
- 서울 교대 박선영 추모 조형물
- 동학 100주년 기념 무명 농민군 추모비 : 정읍 (1994)
- 중앙대학교 `이내창 추모 조형물'
- 민족시인 채광석 선생 시비 조형물 : 안면도 국립 휴향림 (2000)
- 지각생의 하루 : 서울 역사박물관 (2010)
- 평화의 소녀상 (일본군 위안부 수요집회 1000회 기념) :
일본대사관 정문앞 (2011~)
그 후 국내 평화의 소녀상,
그리고 해외 글렌데일 평화의 소녀상 외 다수지역에 설치 (2013~)
- 미선 효순 기념비 : (2012)
- 김구선생 기념 조형물 : 서울시 성동구(2013)
- 이해남 이해중 열사 추모비 : 천안(2013)
- 독립운동가 조문기 선생 기념비 : 화성시 매송초등학교 (2014)
- 일제 강제 징용자 “70년만의 귀향” 무대 설치 및 묘소 안내판 명판 (2015)
- 베트남피에타 : 제주 강정 프란체스코성당 (2017)
- 강제노동자상 : 교토 단바망간기념관, 용산역, 제주항, 부산 (2017~)
- 항일독립여성상 : 배제공원 (2019)
- 언론자유조형물 : 서울 프레스센타 (2019)
- 이전글사)민족미술인협회 20.07.22
- 다음글(사)경기민족굿연합 수원지부 20.07.22